AI 기반 유튜브 동영상 타게팅 솔루션 GP를 제공하는 프릭아웃 코리아(대표이사 히로시 오카다)이 유튜브 사용자들의 멀티태스킹 이용 행태에 대한 조사를 발표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의 유튜브 이용률은 71%로 OTT 서비스 중 2위인 넷플릭스(35.7%)를 더블 스코어로 앞서고 있으며, 10대~40대에서의 이용률은 80%를 넘어선다.
그러나 프릭아웃은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0~60%에 달하는 높은 광고 시청 완료율이 정말로 유효한 수치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유튜브 광고가 실제로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지, 소비자들은 과연 어떠한 환경에서 유튜브 광고를 접하게 되는지 조사하게 되었다.
조사의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유튜브는 멀티태스킹 미디어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며, 화면을 제대로 주시하는 사용자의 비율은 매우 낮다
- 유튜브 멀티태스킹 이용의 비율은 88%
- 가사(40%), 업무(18%), 운동(13%), 및 대중교통 이용(13%)의 환경에서 주로 멀티태스킹
2.멀티태스킹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대부분 광고를 무시한다
- 멀티태스킹 상황에서 광고를 시청하는 비율은6.8%
- 관심있는 광고가 나오는 경우에도 41%의 사용자는 광고를 확인조차 하지 않고 무반응
3.음악은 청취용 콘텐츠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화면을 주시하지 않는 사용자 환경에서의 소비 경향이 크다
- 화면을 주시하는 상황에서 음악 콘텐츠 이용율은 16%인 반면, 화면을 보지 않고 듣기만 하는 경우에는 59%
4.광고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광고와 동영상 콘텐츠와의 관련성이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한 인상이 개선된다
본 조사는 프릭아웃 코리아의 의뢰로 주식회사 발크가 기획/분석을 진행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는 대한민국 20~60대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밀 엠브레인에 의해 2024년 11월 진행되었다.
조사자료는 아래 URL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https://kr.freakout.net/download/gp_survey/